의류용 원단소재

옷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소재는 주로 ‘천연 섬유’와 ‘화학 섬유’ 두 가지입니다.
먼저각각의차이,특징을소개해보도록하겠습니다.
천연 섬유
천연소재로 만들어진 천연섬유로는 식물에서 채취되는 ‘식물섬유’와 동물에서 채취되는 ‘동물섬유’가 있습니다.
촉감과 착용감이 좋고, 자연계에 있는 것으로 만들어져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도 부드러운 소재라고 합니다.
화학 섬유
화학 섬유는 석유나 석탄 등에서 화학적인 합성이나 가공에 의해 제조된 섬유를 말합니다. 원료나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해서,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합성섬유는 석유를 주원료로 만들어졌고, 반합성섬유는 천연 원료에 화학물질을 조합해 만들어졌습니다. 또 재생섬유는 목재나 페트병 등을 화학적으로 섬유 형태로 바꿔 만든 소재를 말합니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화학섬유는 흡한속건성과 형태안정성, 냉감 기능 등 천연섬유의 단점을 보완한 섬유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소재①「천연섬유」의 종류

옷감에 사용되는 소재의 하나인 천연섬유에는 주로 식물섬유인 코튼(면)·린넨(마)·동물섬유인 실크(비단)·울(모)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주요 천연섬유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코튼(면)
면(면)은, 촉감이 좋고 통기성과 흡수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튼튼하고 열에 강하다는 성질이 있어 오래 지속되기 쉬운 것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한편, 세탁을 하면 수축하기 쉽고 주름이 생기기 쉽다는 면도 있습니다. 말릴 때는 주름을 펴듯이 두드리거나 가볍게 당기거나 하는 것이 좋습니다.
린넨(마)
린넨(마)은 통기성과 흡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봄여름 의류 원단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소재입니다.
매끈하고 차가운 감촉으로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 매력이지만, 물세탁을 하면 주름과 수축이 일어나기 쉽고, 촉감이 따끔따끔할 수도 있습니다.
실크(비단)
실크(비단)는 누에고에서 채취할 수 있는 동물 섬유입니다. 천연 소재이면서 보습성과 보온성, 흡수성과 경량성 등 기능성이 뛰어납니다.
다른 천연 섬유에 비해 촉감이 좋고 광택감이 있기 때문에, 포멀한 드레스 등의 원단에도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그러나 쉽게 변색되고 마찰에 약하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울(털)
양의 털로 만들어진 울(모)은, 보온성이나 보습성, 흡습성 등이 뛰어납니다.
또한 양털은 물을 튀기는 성질이 있고 천연 항균 방취성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땀을 흘려도 잘 끈적이지 않으며 불쾌한 냄새를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동물의 털을 사용한 천연 소재로는 울 이외에도 캐시미어와 알파카, 앙골라, 카멜 등이 있습니다. 모두 동물 섬유는 수축성이 강하여 관리 및 보관 방법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재②「화확섬유」의 종류

옷감의 소재로 사용되는 화학섬유로는 주로 폴리에스테르·나일론·레이온·아크릴·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주요 화학섬유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는 석유를 주원료로 만들어지는 합성 섬유입니다. 주름이 잘 생기지 않고 형태가 잘 무너지지 않아 세탁에도 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경량성이나 속건성, 내구성도 뛰어난 것도 있어, 스포츠웨어나 아웃도어 웨어에도 채용되고 있습니다.
나일론
나일론도 석유를 주원료로 한 합성섬유입니다.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마찰에도 강하여 형이 잘 무너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약품이나 해충, 곰팡이 등에도 강하고 탄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옷감 이외에도 폭넓게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그러나 열에는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레이온
레이온은 목재 펄프를 사용한 재생 섬유입니다. 흡습성과 흡수성이 뛰어나고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옷 안감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한편, 화학 섬유 중에서는 물에 약하기 때문에 주름이 생기기 쉽고 수축하기 쉽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아크릴
아크릴은 석유를 주원료로 한 합성 섬유입니다. 울과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어 통통하고 부드러우며 보습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울에 비해 주름이나 모양이 무너지거나 벌레에 강하기 때문에 울의 대체품으로 채택되었습니다.
그러나 정전기나 보풀이 발생하기 쉽고, 울에 비하면 흡수성이나 흡습성이 떨어집니다.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도 석유를 주원료로 한 합성 섬유가 됩니다.
고무처럼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유연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입니다. 스트레치성이 있는 원단의 대부분에 폴리우레탄을 사용합니다,
가볍고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지만, 한편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이나 자외선에 약하고, 보관 방법에 따라서는 제조 후 2~3년 만에 열화해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